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 대한민국 국립공원 총정리

    금정산 사진금정산 망루금정산 용호봉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핵심 요약

    금정산, 제23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

    금정산(801.7m)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양산시에 걸친 영남권 대표 산지로, 도심과 맞닿은 자연·문화 복합 자산이다. 2025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며 부산 시민의 오랜 숙원이 실현되었다. 도심 접근성과 생태·문화유산을 동시에 갖춘 도시형 국립공원 모델로서 상징성이 크다.

    구분 핵심 가치
    자연생태 암릉 지형, 다양한 산림생물 서식, 계곡·능선 경관
    역사문화 금정산성(약 17.3km, 한반도 최장 산성)과 범어사(영남 삼보 사찰)
    관광자원 도심·바다 조망, 교통 접근 용이, 사계절 산행·산책
    생활권 연계 시민 휴식·교육, 국제관광 콘텐츠 확장
    국립공원 지정 이후 탐방안전시설 확충, 생태 모니터링 강화, 탐방로 정비·분산 운영 등 관리 수준이 단계적으로 향상될 예정입니다.

     

    금정산을 즐기는 대표 탐방 코스

     

     

     

    ① 범어사 → 북문 → 고당봉 대표 조망

    • 난도: 중상 / 소요: 약 3.5시간
    • 하이라이트: 암릉 전망과 부산 도심·바다 파노라마
    • 포인트: 범어사 문화재 관람 + 고당봉 인증샷

    바람이 강한 날은 능선 체감온도 하락—보온·방풍 레이어 권장.

    ② 동문 ↔ 남문 순환 성곽길 가족 추천

    • 난도: 중 / 소요: 2~3시간
    • 하이라이트: 성곽 위 능선 산책, 완만한 구간 다수
    • 포인트: 문루·치성 등 산성 구조물 감상

    비 예보 시 석성 구간 미끄럼 주의. 트레킹화 필수.

    접근 정보

    • 부산 도시철도 범어사역 하차 후 버스/도보 연계
    • 온천천·금정구 중심지에서 대중교통 다양
    • 주말 혼잡 시간(09~12시) 회피 시 쾌적

     

    대한민국 국립공원 현황(2025) — 총 23개

    한국의 국립공원은 자연보전과 공공의 향유를 동시에 지향한다. 현재 산악형 16곳, 해상·해안형 4곳, 역사형 3곳(대표: 경주)으로 구분되며, 각 권역의 생태·지형·문화적 특성을 반영해 관리된다.

     

    Ⅰ. 산악형 국립공원

     

    이름 지역 특징
    지리산 전북·전남·경남 국내 최초 지정(1967), 반달가슴곰 복원, 종주 명산
    한라산 제주 한국 최고봉(1,947m), 백록담 분화구, 구상나무 숲
    설악산 강원 암릉 절경·대청봉, 단풍·빙폭·능선 조망
    계룡산 충남 산형이 닭 볏 닮음, 가을 단풍·암릉 조화
    속리산 충북·경북 법주사와 문장대, 기암·원시림
    오대산 강원 월정사 전나무숲·선재길, 잣나무 군락
    덕유산 전북·경남 눈꽃 산행 성지, 무주 곤도라, 향적봉 능선
    소백산 충북·경북 철쭉 능선·초원형 산릉, 천문대
    북한산 서울·경기 도심형 대표 산악공원, 백운대·인수봉
    가야산 경북·경남 해인사·팔만대장경, 단애·계곡
    치악산 강원 구룡사·비로봉, 가을 억새와 단풍
    태백산 강원·경북 민족 성산, 주목 군락·설경·눈꽃축제
    주왕산 경북 주방천 협곡·폭포, 기암괴석·지질 가치
    무등산 광주·전남 주상절리대(서석대)와 도시 조망
    금정산 부산·경남 제23호 지정, 금정산성·범어사, 도심 접근성
    월악산 충북·경상 충주호·영봉 조망, 한반도 중심 산악

    산악형은 사계절 매력이 뚜렷하며, 가을(9~11월)·겨울(12~2월) 안전장비와 일출·일몰 시간 체크가 중요합니다.

     

    Ⅱ. 해상·해안형 국립공원

     

    이름 지역 특징
    다도해해상 전남 국내 최대 규모, 2,000+ 섬·바다·갯벌 생태
    한려해상 경남·전남 통영·거제~여수의 섬과 해식애, 수려한 다도 조망
    태안해안 충남 사구·백사장·낙조, 철새 도래지·갯벌 체험
    변산반도 전북 내륙 산지+해안 복합, 채석강·곰소염전

    해안 탐방은 조석(물때)·바람을 고려하세요. 겨울 해풍체감온도는 내륙보다 3~5℃ 낮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Ⅲ. 역사·문화형(사적형) 국립공원

     

    이름 지역 특징
    경주 경북 신라 왕경 유적, 대릉원·첨성대·동궁과 월지
    계룡산(문화축) 충남 도교·무속 전통과 산악 경관의 결합
    기타 역사축 - 정책 분류·범위는 시기별로 조정 가능

    역사형은 박물관·유적 해설과 연계 시 만족도가 크게 올라갑니다. 야간 조명 구간은 삼각대·저조도 촬영 팁을 확인하세요.

     

    국립공원 여행 팁

     

     

     

    계절별 베스트

    • 봄: 소백산·오대산 야생화, 변산반도 내변산 계곡
    • 여름: 다도해·한려해상 섬 트레일·카약, 설악 계곡
    • 가을: 덕유·지리·설악 단풍 능선
    • 겨울: 태백산·덕유산 눈꽃, 한라산 상고대

    탐방 수칙

    • 지정 탐방로 준수, 출입 제한(야간·보호구역) 확인
    • 쓰레기 되가져가기, 소음·드론 규정 준수
    • 반려동물 동반 규정 확인(대부분 제한)

    준비물 & 안전

    • 기상·일몰·대피로 사전 확인, 헤드랜턴·비상식량
    • 방풍·방수·보온 레이어, 미끄럼 대응 신발
    • 탐방예약제가 적용되는 코스는 사전 예약

     

    부산 관광과의 연계 가치(금정산 효과)

    • 바다+산+도시를 모두 갖춘 국제도시 브랜딩 강화
    • 벡스코·영화의전당 등 MICE 방문객의 자연휴양 수요 흡수
    • 추천 루트: 금정산성 → 범어사 → 온천천 산책 → 광안리 야경
    • 금정산 일출 후 해운대 모닝워크, 전통시장(부산역·남포동) 연계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후 기대 효과

     

     

     

    분야 기대효과
    환경보호 핵심 서식지 복원·연결성 강화, 도시 생태축 회복
    탐방관리 안전시설·해설·분산운영 고도화, 체류형 프로그램 확대
    관광산업 산악·문화·해양 관광의 융합, 야간·사계절 상품 다변화
    지역경제 일자리·상권 활성, 공공·민간 파트너십 확대
    도시브랜드 국제적 ‘녹색도시’ 이미지 및 지속가능성 리더십 강화

     

    결론 — 도시 속 국립공원, 미래 세대를 위한 모델

    금정산은 “역사 속 요새”에서 “미래 세대의 생태 심장”으로 전환 중이다. 도심에 인접한 국립공원으로서 시민의 일상과 자연보전이 조화를 이루며, 교육·관광·복지·경제를 아우르는 복합적 가치를 창출한다.

    전국 23개 국립공원은 각기 다른 지형과 문화를 품고 있으며, 금정산의 합류로 한국의 공원 체계는 더욱 촘촘해졌다. 이제 우리의 과제는 지속가능한 탐방 문화를 확산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보전 중심의 이용을 실천하는 일이다.

    ※ 본 문서는 여행 안내용 요약입니다. 탐방로·예약제·교통·기상·안전 규정은 국립공원 공식 공지에 따라 수시로 변동될 수 있으니 방문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반응형